티스토리 뷰
목차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이 2025년 연말정산의 변화에 대해 궁금해하고 계실 텐데요. 올해는 공제 항목과 기준에서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연말정산의 달라진 점을 상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특히 신용카드 소득공제, 월세 세액공제, 자녀 관련 공제, 산후조리원비 공제 등 꼭 알아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1.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상향


달라진 내용 :
내수 활성화를 위해 한시적으로 소득공제율이 인상됩니다.
- 기존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는 300만 원이었으나, 2025년부터 35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신용카드뿐 아니라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대중교통, 전통시장 사용액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적용 기준 :
- 기존에는 총 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공제가 적용되었지만 2024년도에 신용카드 사용 증가분에 대한 공제가 추가로 최대 10% 1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TIP: 연말까지 공제율이 높은 항목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면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결혼 세액공제 신설
결혼 세액 공제는 2025년 연말정산에 새로 신설된 항목입니다.
-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 신고를 한 경우 근로소득과 종합과세소득이 있는 부부에게 1인당 50만 원씩, 최대 1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됩니다.
- 결혼 세액공제는 생애 1회만 적용됩니다.
- 2026년까지 한시적 공제
3. 월세 세액공제 기준 완화


달라진 내용
- 월세 세액공제 소득 기준이 기존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에서 8천만 원 이하로 완화되었습니다.
- 월세 공제 75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상향
- 공제율 : 총 급여가 5500만 원 이하일 때 최대 17%, 초과일 때 최대 15%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적용 대상
- 주택 임차 계약서와 월세 납부 내역이 있어야 하며, 세입자가 임대차 보호법에 따른 전·월세 계약을 체결했을 경우 적용됩니다.
💡 준비 서류:
- 임대차 계약서 사본
- 월세 이체 내역
4. 주택청약 공제 확대
- 공제 대상 납입액 한도가 연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 총 급여액이 70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는 주택청약 납입액의 40%, 최대 120만 원까지 공제됩니다.


5. 장기주택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증가
- 장기주택저당 차입금이란? 주택 구입 시 받은 대출을 말하는데 이 대출에 대한 매달 갚는 이자를 공제해 줍니다.
- 기존 연 300만 원에서 1800만 원까지 공제했지만 상환기간 10년 이상인 경우 600만 원, 15년 이상이면 최대 2000만 원까지 상향됐습니다.
- 주택 취득 당시 가격이 5억 원 이하였던 공제 대상 조건도 6억 원 이하로 완화됐습니다.
💡과세 종료일 기준으로 무주택자이거나 1주택 세대주 근로자여야 합니다.
6. 자녀 관련 공제 확대


1) 자녀 세액공제
- 8세~20세까지 자녀가 있는 경우
- 첫째 자녀: 기존과 같이 15만 원 공제
- 둘째 자녀: 기존 공제 금액 30만 원에서 35만 원으로 증가.
- 셋째 자녀 이상: 일 인당 30만 원이 추가로 공제
2) 6세 이하 자녀 의료비 공제
- 기존 의료비 공제는 총 급여의 3%를 초과해야 적용되었지만, 6세 이하 자녀 의료비는 전액 공제됩니다.
- 의료비 공제 한도(700만 원)와 별도로 인정됩니다.
💡 중요: 자녀 공제를 받으려면 자녀의 주민등록등본과 관련 의료비 영수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7. 산후조리원비 공제 기준 폐지


달라진 내용
- 산후조리원비 공제 한도는 기존 200만 원으로 유지되지만, 공제율이 **15%에서 20%**로 상향되었습니다.
- 기존 7000만 원 이하 근로자에서 모든 근로자로 확대되었습니다.
- 산후조리원은 반드시 모자보건법에 따라 등록된 기관이어야 공제가 가능합니다.
💡 준비 서류:
- 산후조리원 영수증
- 산후조리원의 사업자등록증
8. 기부금 세액공제 투명성 강화


달라진 내용
- 간소화 서비스에서 기부금 공제 내역이 더 상세히 제공됩니다.
- 기부금 유형별 공제율(10~30%)은 변동이 없으나, 누락된 기부금은 직접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 TIP: 기부금 영수증은 반드시 보관하고,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경우 별도로 제출하세요.
9. 연금저축 및 IRP 공제 한도 상향


- 연금저축과 IRP(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는 기존 1200만 원에서 15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 연금저축은 공제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0. 의료비 공제 추가 변화


난임 치료비 공제
- 난임 치료비는 기존처럼 총 급여의 3%를 초과하지 않아도 전액 공제 가능합니다.
- 고액 의료비 지출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혜택입니다.
💡 TIP: 의료비 공제는 국세청 간소화 서비스에서 누락된 항목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 영수증을 별도로 챙겨야 합니다.
11. 준비해야 할 서류


연말정산에서 달라진 공제 항목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관련 서류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1)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 가능한 서류
- 신용카드 사용 내역
-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자료
2) 직접 준비해야 할 서류
- 월세 세액공제: 임대차 계약서, 월세 이체 내역
- 산후조리원비 공제: 산후조리원 영수증, 사업자등록증
- 자녀 관련 공제: 주민등록등본, 의료비 영수증
2025년 연말정산 준비 꿀팁
1) 간소화 서비스 적극 활용
- 2025년 1월 15일부터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자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누락된 자료는 병원, 교육기관, 기부처 등에서 직접 발급받아야 합니다.
2) 예상 세액 계산기로 미리 점검
- 국세청과 금융 포털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계산기를 활용해 공제 혜택을 미리 확인하세요.
3) 회사 제출 기한 엄수
- 회사별 제출 기한이 다르므로, 인사팀의 안내에 따라 서류를 기한 내에 제출하세요.


마무리
2025년 연말정산은 공제 한도와 기준이 변화한 만큼 꼼꼼히 준비해야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상향, 자녀 공제 확대, 월세 세액공제 완화 등은 가족 단위 근로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