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민·쿠팡이츠 수수료 9.8% 시대"배달앱 포기 못해" vs "당장 탈퇴"'혼돈의 시장' 한동안 계속될 우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플랫폼 끊고 전단지 뿌리려고요."배달의민족이 다음 달부터 쿠팡이츠와 마찬가지로 배달 중개 수수료를 9.8%(부가세 별도)로 3%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하자 외식업계가 요동치고 있다. 이미 코로나19 이후 플랫폼 의존적으로 변화하면서 동반 성장을 이룩한 외식업계지만 내수 침체, 원자재·임금 물가 상승에 배달앱 수수료 인상까지 '3단 펀치'를 맞으면서 "참을 만큼 참았다"는 분위기다. 배달앱 '손절'하는 사장님들13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7월 1주차 '배민사장님' 앱의 주간 활성 사용자 수(WAU, 안드로이드+iOS, 중복포함)는 25만60..

5위권 김 제조업체들 가격 줄인상 원초 값 상승에 수출 물량 증가 겹쳐 외식업계 김밥 가격 인상 움직임도 사진=뉴스1 서울 서대문구의 한 김밥집은 이달부터 주요 메뉴 가격을 200~400원씩 인상했다. 김을 비롯한 재룟값 상승에 약 1년7개월 만에 다시 가격을 올렸다. 그동안 버텼지만 이달부터 거래처에서 김 가격을 인상한 게 결정적이었다. 가게 단골인 박모 씨는 "(가격 인상을 알리면서) 사장님이 죄송하다고 하더라. 물가가 워낙 올라 어쩔 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먹거리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오르는 가운데 수산물인 김 가격이 가파르게 뛰어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이 우려하고 있다. 최근 수출 물량이 늘어 ‘검은 반도체’로도 불리는 김은 국내외 수요가 늘어난 데다 원초(물김) 생산량이 줄어 가격이 상승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