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마카세 대신 간편식, 택시보단 버스 … 2030이 변했다꼭 필요한 것만 산다…이젠 '요노' 시대2030 소비성향과소비 '욜로'서 실용적 '요노'로수입차 구매 뚝…중고차는 늘어사진=게티이미지뱅크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소비 성향이 축소 지향적으로 바뀌고 있다. ‘인생은 한 번뿐’이라며 현재 지향적 소비를 하던 ‘욜로(YOLO·You Only Live Once)’는 옛말이 되고 있다. 고물가·고금리에 지친 청년들이 꼭 필요한 것만 구매하는 ‘요노(YONO·You Only Need One)’족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이 28일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농협은행 개인 고객 3200만 명의 금융 거래 이력과 체크·신용카드 결제 내역 45억 건, 하나로마트 소비 내역 22억 건을 분석한 결..

"저렴한 덩어리 고기 주세요"…장바구니 얼어붙은 이유대용량·수입·냉동 제품 담는 소비자창고형 마트 덩달아 인기신선식품지수 17.3% 올라4일 오전 경기 용인시의 한 창고형 할인매장. /사진=김영리 기자"국산 삼겹살이 너무 비싸서 이거 사 먹기 시작했는데 맛 괜찮던데요. 대신 자르기 힘드니 2시간만 해동한 뒤 소분하시고요. 바로 냉동 보관하세요. 완전히 해동시켰다가 다시 얼리면 누린내 나니까." 4일 정오 경기 용인에 위치한 한 창고형 마트의 정육 코너. 50대 남모 씨가 익숙한 손길로 5.5kg짜리 스페인산 냉동돈삼겹살을 고르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꾸준히 먹는 고기라 덩어리로 사는 게 훨씬 싸다"면서 "소분하는 것도 몇 번 하다 보면 금방 한다. 오히려 먹을 만큼 소분해둘 수 있어 좋다"고 설명했다..

고물가·고환율에도 국내외 여행 증가사진=게티이미지 뱅크 ◆ 고물가·고환율에도 국내외 여행 증가 "열심히 아꼈으니 이제 떠나야죠."20대 직장인 김모씨는 오는 7월 남자친구와 싱가포르로 여름휴가를 떠날 계획이다. 총 여행경비는 500만원가량. 항공과 숙소 예약에만 벌써 270여만원을 지출했지만, 김씨는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1년에 한 번 하는 해외여행이 유일한 사치"라고 강조했다. 본격적인 여름휴가 성수기를 앞두고 국내외 여행 수요가 늘고 있다. 고물가·고환율로 인해 지갑 여유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휴가에는 지출을 아끼지 않는 모양새다. '휴가엔 돈을 아끼지 말자'는 식의 소비 형태가 투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물가로 실질 소득 줄었는데…"여행은 못 참아"1일 여행 업계에 따르면 최근 물가 상..

'고물가'에 깊어진 시름…실질소득 7년래 최대 감소월 평균 소득 512만원…실질소득 1.6% ↓분배지표는 개선…고소득 가구 소득 감소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한 시민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속되는 고물가의 여파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올해 1분기 근로소득(실질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소득이 늘었음에도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오른 결과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가계소득 증가폭은 전 분기(3.9%)보다 크게 둔화한 것이다. 근로소득(329만1000원)이 1.1% 줄어든 영향이다. 근로소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