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40~50명 꽉 들어찬 노인쉼터노인들 "생활비 쓰기도 빠듯한데 마스크는 사치"8월 코로나 확진자 급증…고령자 환자 절반 이상전문가, '제2의 신천지' 사태 우려 표명[이데일리 박동현 기자] “마스크는 무슨, (기초)수급자들이라 생활비 대기도 빠듯한데…” 최근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입원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저소득층 노인들은 이에 대응하지 못한 채 무방비로 노출돼 있었다. 특히 폭염을 피해 노인들이 모이는 노인쉼터는 코로나에 취약한 구조로 운영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자칫 코로나의 폭발적 재유행의 단초가 될 수 있다며 65세 이상의 고위험군 대상에 한해서라도 마스크를 지원하고 실내 방역을 강화하는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생활비도 빠듯”…10평 남짓 공간 전원 ‘노마스크’ 25..

8월 2째주 입원환자 1357명 올해 최대 증상 있을 경우 등교 안 해도 출석 인정, 무증상일때도 전파력이 있어서 자택에서 쉬어야 한다. 치명률 0.05% 낮아서 불안해 할 필요 없고 치료제 26만명분 이상 공급하기로 협의했다. 코로나19 입원환자 수가 이달 둘째 주 정점을 찍는 등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학교 개학 등과 맞물리면서 확진자 수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최하위'인 관심으로 낮추면서 대부분 방역 조치를 해제했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해제되고 격리 권고도 대폭 완화한 이후 코로나19가 처음 재유행하는 만큼 사회 곳곳에서 혼란도 커지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민간 전문가와 협의해 감염 예방 수칙을 만들어 권고했다. 질병청 설명..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경계'에서 '관심'으로 조정되며 병원급 의료기관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환자가 마스크를 목에 걸고 있다./연합뉴스 코로나19 방역 의무 조치가 모두 ‘권고’로 바뀐 1일 마지막으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했던 병원에서마저 마스크를 모두 벗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이후 4년 4개월만에 완전한 일상회복에 들어간 것이자, 대중교통 등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2020년 11월 이후 3년 반 만에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전 사라진 셈이다. 시민들은 “더 이상 병원을 비롯한 어디에서도 마스크를 반드시 끼지 않아도 된다”며 “진짜로 팬데믹이 끝난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1일 오전 9시쯤 방문한 서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