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미씨 지분 나팔꽃F&B2021년 민사소송 제기돼사진=이데일리DB[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배우 김수미(73)씨가 지분을 보유한 식품 회사 나팔꽃F&B가 억대 꽃게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민사 소송을 당했으나 1심에서 승소했다.12일 인천지법 민사1단독 김성대 판사는 수산물 유통회사 대표 A씨가 나팔꽃F&B를 상대로 낸 물품 대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나팔꽃F&B는 한때 김씨의 아들이 대표이사를 맡은 식품 회사로, 김씨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김씨의 아들은 지난해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고 현재는 이사 신분이다. A씨 회사는 2021년 12월 나팔꽃F&B에 2차례 꽃게를 납품하고도 총 1억7700만원을 받지 못했다며 이듬해 12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A씨 회사는 비록 꽃게 납품 계약을 나팔..

유승민 전 의원. 유 전 의원 팬카페 ‘유심초’ 캡처. 유승민 전 의원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당대표 출마론이 고정 지지층을 중심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 유 전 의원은 지지자들의 요청으로 5년 만에 토크콘서트를 열었고 한 전 위원장은 독서하는 모습이 지지자들에게 화제가 됐다. 4·10 총선 후 친윤석열계 중심의 당 운영에 실망한 보수층 표심을 겨냥한 행보로 풀이된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1일 서울 한 카페에서 팬클럽 ‘유심초’ 회원들과 5년 만에 미니 토크콘서트 형식의 모임을 했다. 유 전 의원은 12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지지자들과 토크콘서트를 열게 된 이유에 대해 “지지자들이 그동안 하자고 그랬는데 좀 조심스러워서 안 하다가 몇 년 만에 했다”며 “지지자들은 주로 출마하라는 의견이 많았..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서울경제] 지난 2019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강의하던 중 학생에게 성희롱 발언을 한 류석춘(69) 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를 정직시킨 대학의 처분이 타당하다는 대법원의 결론이 나왔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류씨가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결정을 취소해달라”며 제기한 소송에서 원심의 원고패소 판결을 지난 9일 확정했다. 류 전 교수는 2019년 9월 19일 사회학과 전공 수업 중 “(위안부 관련) 직접적인 가해자는 일본이 아니다”, “(위안부는)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했다. 한 여학생이 ‘위안부 피해자들이 자발적으로 갔다는 것인가’라고 묻자 류씨는 “지금도 매춘에 들어가는 과정이 자의 반, 타의 반”이라고 설명하며 “궁금하면 한번 해볼래요”라..

쉬인 김유정 브랜드 모델 선정자사 패션 브랜드 데이지 화보마동석, 탕웨이 이어 中 영입돼“연예인 이미지에 부정적 우려”배우 김유정의 쉬인 브랜드 화보. 사진=SNS 캡처[서울경제] 패션 전문 중국 e커머스 쉬인(SHEIN)이 배우 김유정을 브랜드 모델로 선정했다. 알리익스프레스가 마동석, 탕웨이를 사용한 데 이어 중국 플랫폼들이 한국 고객들을 사로잡기 위해 연예인 마케팅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브랜드라는 업체의 특성이 연예인의 이미지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쉬인의 자체 패션 브랜드 데이지(DAZY)는 최근 배우 김유정과 함께한 화보를 자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했다. 데이지는 쉬인의 모회사 ‘로드겟 비즈니스’(Roadget Busine..

김수미씨 지분 나팔꽃F&B2021년 민사소송 제기돼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배우 김수미(73)씨가 지분을 보유한 식품 회사 나팔꽃F&B가 억대 꽃게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민사 소송을 당했으나 1심에서 승소했다. 12일 인천지법 민사1단독 김성대 판사는 수산물 유통회사 대표 A씨가 나팔꽃F&B를 상대로 낸 물품 대금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나팔꽃F&B는 한때 김씨의 아들이 대표이사를 맡은 식품 회사로, 김씨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김씨의 아들은 지난해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고 현재는 이사 신분이다. A씨 회사는 2021년 12월 나팔꽃F&B에 2차례 꽃게를 납품하고도 총 1억7700만원을 받지 못했다며 이듬해 12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A씨 회사는 비록 꽃게 납품 계약..

美 시카고트리뷴 등 외신 보도"백신으로 어느 정도 예방 효과"사진 = 이미지투데이[서울경제] 올 여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트리뷴, 악시오스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하위 변종 'FLiRT'가 확산하고 있다. 영국 워릭 대학교 로렌스 영 분양종자학 교수는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의 데이터를 인용해 "KP.2라는 FLiRT 변종 바이러스가 미국 내 신규 감염의 25%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해당 바이러스가 이전 변종보다 전염성이 더 높을 순 있지만, 더 위험한지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영 교수는 분석했다. 그는 "이 변종 바이러스의 확산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해야 하지만 현재 검사를 매..